미분양 주택이 5개월 만에 다시 7만 가구대로 늘어난 가운데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전국적으로 2만 가구를 넘어섰다.
준공 후 팔리지 못한 악성 미분양은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져, 건설 경기 악화의 지표로 분류된다.
국토교통부는 2024년 12월 기준 주택 통계 통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173가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미분양은 지난해 6월 7만4037가구까지 늘었으나 7월 7만1822가구로 감소한 뒤 5개월 연속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 뒤 지난해 12월 한 달 만에 5027가구(7.7%)가 훌쩍 늘었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이 1만6997가구로 전월보다 17.3%(2503가구) 늘었고, 지방은 5만3176가구로 5.0%(2524가구) 증가했다.
이 가운데 다 짓고도 분양하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은 작년 12월 기준 2만1480가구로 집계됐다. 악성 미분양이 2만가구를 넘어선 건 2014년 7월(2만312가구)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한 달 전(1만 8644가구)과 비교해도 15.2%(2836가구)나 늘었다. 1년 전(1만 857가구)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급증한 셈이기도 하다. 특히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이 많이 증가했다.
지방 준공 후 미분양은 1만722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11월(1만 4802가구) 대비 2427가구(16.4%) 늘어난 수치다. 1년 전(8690가구)과 비교해도 지방의 악성 미분양은 대폭 급증했다.
지난달 늘어난 악성 미분양의 60%가량은 대구·경북 지역에서 발생했다. 경북의 준공 후 미분양은 2237가구로 전달(1371가구)보다 63.2%가 많아졌다. 대구 역시 준공 후 미분양이 2674가구로 전월(1812가구) 대비 47.6% 뛰었다. 이어 전남(2450가구), 부산(1886가구), 경남(1775가구), 제주(1746가구) 등으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수도권이라고 상황이 다르진 않았다. 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은 4251가구로 나타났다. 작년 11월 3842가구보다 409가구(10.6%) 늘어난 셈이다. 특히 경기의 준공 후 미분양이 2072가구로 전달(1695가구)보다 22.2% 증가했다.
'부동산 뉴스, 상식, 칼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 아파트 가격 급락 이유 알아보니 반도체 불황과 과잉 공급탓 (0) | 2025.02.07 |
---|---|
인천 부평 청천동·산곡동 일대 1만5000여 가구 신 주거타운 탈바꿈, 신축 단지 주목 (0) | 2025.02.06 |
요즘 아파트 시장에 뜨는 O세권 2가지는 (2) | 2025.02.04 |
올 7월부터 대출 한파…‘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내 집 마련 문턱 더 높아진다 (0) | 2025.02.03 |
인구감소지역 미분양 주택 취득 땐 주택수 포함 안해…양도세·종부세 혜택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