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1월 현재 6438가구 1년만에 18배나 폭발...브레인시티 아파트 분양 대참사
아파트 미분양 사태가 지방에서 수도권 외곽까지 번지고 있다. 정부가 비수도권의 준공후 미분양 주택 3000가구를 직접 매입하는 등 미분양주택 해소 방안을 내놨지만 북진하는 불길을 막기는 역부족이다.
경기 평택은 4년 10개월 만에 다시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됐으며, 지난해 분양이 많았던 경강선 주변의 이천(1873가구)과 광주(899가구) 지역의 미분양도 심각하다. 이천은 지난해 8월부터 8개월 연속으로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평택이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평택의 미분양 주택 규모가 작년 1월 361가구 수준에서, 올해 1월 6438가구로 18배나 폭발했다.
특히 지난 1월 중 경기도 미분양이 2181가구 늘었는데, 평택에서만 증가한 미분양이 2367가구 규모로 웬만한 광역지자체의 미분양 규모다.
HUG는 미분양 세대 수가 1000가구 이상이면서 ‘공동주택 재고수 대비 미분양 가구 수’가 2% 이상인 시·군·구 중 미분양 관리지역을 지정한다. 미분양 증가 속도가 빠르거나, 미분양 물량이 계속해서 해소되지 않는 지역, 신규 미분양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이 대상이다.
평택은 2018년 5월부터 약 2년 동안 미분양 관리지역에 지정됐었으나, 부동산 열기가 경기 외곽지역으로 퍼진 2020년 6월 관리지역에서 벗어났다. 그러다 4년10개월 만에 다시 관리지역이 된 것.
평택의 미분양이 이처럼 급증한 원인은 반도체 불황 때문이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공장 건설이 지연의 타격이 컸다. 지난해 11~12월 청약을 진행한 단지들은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평택 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인근 A아파트의 1·2순위 청약 땐 864가구 모집에 신청자가 94가구였다. B아파트 역시 1·2순위 청약 때 1933가구를 모집했으나 신청자는 312명에 그쳤다.
평택의 미분양 물량 해소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정부의 지원 대상에서 빠져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면 주택 수에서 제외해주는 과세 특례가 적용되지만, 이는 비수도권에만 해당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CR리츠(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의 미분양 주택 매입 대상에서도 수도권 주택은 빠진다. 또 지방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면 디딤돌 대출 금리를 0.2% 감면받을 수 있지만, 이 역시 수도권은 제외다.
이에 업계에서는 수도권 미분양 증가세를 고려해 과세 특례 적용 지역을 ‘비수도권’에서 ‘서울을 제외한 지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호소도 나온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미분양이 1년 새 2배 넘게 급증한 것은 물론 물량 해소도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비상조치로라도 ‘주택 수 제외 과세특례’ 적용을 확대해 달라”라고 호소했다.
'부동산 뉴스, 상식, 칼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통장 해지 사유 서울 '고분양가', 지방 '미분양 적체' (0) | 2025.03.09 |
---|---|
요즘 아파트 가치를 결정하는 '이것'은 뭘까? (2) | 2025.03.08 |
부동산 시장 주류 3040세대, 아파트 선택 1순위 조건은 다름아닌 ‘초품아’ (1) | 2025.03.06 |
금리 인하에 온기 도는 분양시장 얼죽신 열풍 다시 불까? (1) | 2025.03.06 |
기준금리 인하로 열린 내 집 마련 기회, 어떤 ‘아파트’를 주목해 볼까 (2)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