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승합차 대수, 총가구 수 넘어···“주차 공간이 넉넉할수록 입주민 생활 편의성 높아”
자동차 등록 2600만대 돌파…아파트 주차장도 변신중, 주차 공간 넓히고 주차유도시스템 도입
국내 자동차 보유 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넉넉한 주차공간을 확보한 아파트가 주거 선호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아파트의 협소한 주차 공간이 문콕 사고나 주차 갈등을 유발하는 반면, 여유로운 주차시설을 갖춘 단지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며 시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2629만7919대로, 2023년(2594만9201대)보다 약 35만여대 증가했다. 특히 승용차가 2177만1000여대로 집계되면서 국내 총 가구 수(약 2200만)를 넘어섰다.
하지만 현행 법정 주차대수 기준은 전용면적 60㎡ 이하인 주택의 경우 가구당 0.7대에 불과해 자동차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SUV와 같은 대형 차량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기존 주차 공간을 기준으로 설계된 구축 아파트에서는 주차난이 심화되고 있으며, 문콕 사고 등으로 인한 이웃 간 갈등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신축 아파트 단지들은 지하 4~5층까지 주차공간을 확보하거나, 중대형 차량도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확장형 주차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서울 강동구 ‘고덕 아이파크’는 2011년 말 준공된 아파트임에도 가구당 1.77대의 넉넉한 주차공간을 확보해 서울 지역에서도 보기 드문 여유로운 주차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성 덕분에 최근 시세가 3.3㎡당 평균 4667만 원으로, 고덕동 평균(4229만원)을 웃돌고 있다.
주차난이 가중되고 있는 울산과 대전 등 광역도시에서도 여유로운 주차공간을 갖춘 신축 아파트들이 잇따라 공급되고 있다.
롯데건설이 울산 학산동 복산육거리 인근에서 분양 중인 ‘번영로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는 지하 5층, 지상 최고 49층 규모로 조성되며, 가구당 1.41대의 주차공간을 확보했다. 또한 주차유도시스템을 적용해 신속하고 편리한 주차가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급속형·완속형 전기차 충전 주차공간도 마련된다.
DL건설이 대전 중구 문화동에서 공급 중인 ‘e편한세상 서대전역 센트로’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749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주차대수는 1016대로 가구당 1.35대의 주차공간을 제공한다.
업계 관계자는 “지하 주차장은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의 차별점이 가장 두드러지는 요소 중 하나”라며 “주차 공간이 넉넉할수록 입주민의 생활 편의성이 높아지고, 주거 단지의 가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특히 대형 차량 선호도 증가와 함께 전기차 충전시설을 갖춘 아파트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향후 주차 공간이 넉넉한 단지들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뉴스, 상식, 칼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공급 절벽 현실화…알짜 ‘줍줍’ 단지 어디에 있을까 (2) | 2025.02.22 |
---|---|
서울發 훈풍 수도권으로 확산…교통망 개선·개발 호재 갖춘 지역 주목해 볼까 (2) | 2025.02.21 |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 나왔지만 "세제·금융 대책 빠져 아쉬워" 평가 (1) | 2025.02.19 |
‘청약통장 필요없는’ 수도권 브랜드 미분양 아파트는? (0) | 2025.02.19 |
치솟는 전세가율…인천 부평구·서구 신축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0) | 2025.02.18 |